본문 바로가기

정쓸신잡106

[잡다지식] 고양이에게 사랑받는 집사 되는 법 대부분 고양이라면 까칠하고 도도한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고양이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애교쟁이, 수다쟁이가 된다고 합니다. 저 또한 반려묘를 키운 지 벌써 5년 차 집사인데요, 대부분의 집사분들은 고양이가 좋아하는 사람의 특징에 대해 잘 알고 계시겠지만 그중에서도 제 경험으로 비추어 봤을 때 고양이가 좋아하는 사람의 대표적인 특징과 고양이에게 사랑받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나열해 보겠습니다. 고양이가 좋아하는 사람의 특징 1. 고양이는 자신을 괴롭히지 않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물론 너무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고양이에게 '괴롭히지 않는다'의 의미란, '고양이가 싫어하는 부위를 터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고양이가 대표적으로 싫어하는 부위는 배와 꼬리인데요, 잘 모르는 어린아이들이 고.. 2022. 8. 18.
[생활정보] 더 늦기 전에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하기 탄소중립이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흡수량을 늘려 순 배출량이 '0(Zero)'이 되도록 하는 것인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1990년도에 비해 149%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각종 기후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데요, 지구 온도를 1.5℃ 이하로 억제해야 각종 기후 문제와 질병 등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직접 실천할 수 있는 탄소중립 생활 실천수칙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에너지 - 난방온도 2℃ 낮추고 냉방온도 2℃ 높이기 - 전기밥솥 보온기능 사용 줄이기 - 냉장고 적정용량 유지하기 - .. 2022. 8. 17.
[생활정보] 2050 탄소중립이란? 탄소중립이 중요한 이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과 경고를 알리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이제는 기후위기로까지 언급되고 있는데요, 산업화 혁명 시대를 지나면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나 메탄 같은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폭염, 폭설, 태풍, 산불, 가뭄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를 포함한 총 14개국에서는 탄소중립을 법제화하여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선언하였습니다. 탄소중립이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산림 흡수나 CCUS(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활용)으로 제거하여 .. 2022. 8. 14.
[잡다지식] 고양이가 집사를 사랑하고 있다는 증거 흔히 도도하다고 알려진 고양이도 좋아하는 상대에게 자신이 좋아하고 있다는 애정표현을 온몸으로 보여주곤 하는데요, 우리 고양이가 나를 얼마나 신뢰하고 좋아하고 있는지 고양이의 행동을 통해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고양이의 애정표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릉그릉, 골골 소리를 냅니다. 흔히 고양이가 기분 좋을 때 내는 소리로 알려진 그릉그릉, 골골 소리는 현재 상당히 편안하고 행복하다는 뜻입니다. 고양이는 골골 소리를 통해 어미 고양이와 의사소통을 한다고 하는데요, 만약 집사에게 다가와 골골 소리를 낸다면 고양이는 집사를 어미 고양이로 생각하고 집사의 품이 엄마품처럼 따뜻하고 편안하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입니다. 2. 꾹꾹이를 해줍니다. 고양이가 앞발을 오므리고 펴며 꾹.. 2022. 8. 13.